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우뜻 유래 완전정복

by 허숙 2024. 8. 30.

기우(杞憂)와 기인우천(杞人憂天)의 뜻과 유래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사성어 '기우(杞憂)'와 '기인우천(杞人憂天)'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두 성어는 모두 쓸데없는 걱정을 비유할 때 사용되는데요, 그 유래와 의미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우(杞憂)와 기인우천(杞人憂天)의 출전

이 고사성어는 『열자(列子)』의 천서편(天瑞篇)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열자는 전국 시대의 정나라 사람으로, 노자의 계통을 이어받은 철학자입니다. 그의 저서 『열자』는 후대에 많은 위작이 가해졌다는 것이 정설이지만, 여전히 중요한 철학적 텍스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기우와 기인우천의 이야기

기국(杞國)이라는 나라에 한 사나이가 있었습니다. 이 사나이는 천지가 붕괴하면 몸 둘 곳이 없어진다는 걱정에 밤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밥도 목을 넘어가지 않았습니다. 그의 걱정을 본 또 다른 사람이 그를 찾아가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하늘은 공기가 쌓인 것일 뿐이네. 공기가 없는 곳이란 있을 수 없지.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는 것도 언제나 하늘 속에서 하고 있는 것이므로 하늘이 무너진다는 걱정은 할 필요가 없네." 그러자 사나이는 다시 물었습니다. "하늘이 정말 공기가 쌓인 것이라면 일월성숙(日月星宿) 같은 것이 떨어져 오지 않을까?" "일월성숙도 역시 쌓인 공기 속에서 빛나고 있는 것으로, 떨어진다고 해도 맞아서 다치는 일은 없네." 사나이는 또 물었습니다. "왜 대지는 파괴되지 않지?" "대지는 흙덩이가 쌓인 것일 뿐이야. 그것이 사방에 꽉 차서 흙이 없는 곳은 없지. 뛰거나 달리거나 언제나 지상에 있지 않는가? 왜 대지가 파괴되는 것을 걱정하지?" 이 설명을 들은 사나이는 속이 후련해져서 아주 기뻐했고, 설명해 준 사람도 속이 시원해서 크게 기뻐했습니다.

열자의 교훈

열자는 이 이야기를 듣고 웃으며 말했습니다. "천지가 파괴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자도 역시 잘못이다. 파괴되느니 안되느니 하는 것은 우리로서 알 수 없는 곳에 있는 것이다. 하나, 파괴된다고 하는 자에게도 하나의 도리가 있고, 파괴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자에게도 하나의 도리는 있다." 즉, 생(生)은 사(死)를 모르고 사(死)는 생(生)을 모른다는 것입니다. 장래는 과거를 모르고 과거는 장래를 모릅니다. 천지가 파괴되느니 안되느니 하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마음에 넣어 고려하겠습니까?

이백의 시와 기우

중국의 유명한 시인 이백(李白)은 그의 시에서 "기국은 무사했다. 하늘이 기우는 것을 걱정한다"라는 구절을 남겼습니다. 이는 쓸데없는 걱정을 비유하는 동시에 고대인의 진실함과 허심함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이백의 인간성을 보여줍니다.

결론

'기우'와 '기인우천'은 모두 쓸데없는 걱정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일상에서 불필요한 걱정을 덜고 좀 더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지도록 도와줍니다. 다음번에 쓸데없는 걱정이 떠오를 때, 이 고사성어를 떠올리며 마음의 평안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